분류 전체보기155 2022_0119 | 미들웨어 실행, postman, Nodemon, Router 미들웨어, Router 객체 생성 익스프레스 모듈 http 모듈만 사용해서 웹 서버를 구성하면 직접 많은 기능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모듈이 익스프레스입니다. 익스프레스 모듈을 사용하면 간단한 코드로 웹 서버의 기능을 대부분 구현할 수 있고, 미들웨어와 라우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웹 서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메소드 use() : 미들웨어 함수를 사용합니다. get() : get으로 사용자 정보를 전달 받습니다. set() : 서버 설정을 위한 속성을 설정합니다. redirect() : 웹 페이지의 경로를 강제로 이동시킵니다. send() : 클라이언트에 응답 데이터를 보냅니다.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는 html, buffer, json, json 배열.. 등입니다. header() : 헤더를 확인합니다... 2022. 1. 26. 2022_0117 | FileSystem 모듈, http 모듈, 시스템 이벤트, 익스프레스 모듈 터미널에서 ctrl + c -> 빠져나오기 01.js const http = require('http');// 모듈을 현재 파일에 연결 const hostname = '127.0.0.1'; // 서버 const port = 3000;// 포트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요청, 응답 res.statusCode = 200;// 응답상태 정상코드 200 res.setHeader('Content-Type', 'text/plain');// 응답을 받을 때 파일의 방식 res.end('Hello World');// 응답 받는 결과 }); server.listen(port, hostname, () => { // 서버에서 파일을 실행했을 때 클라이언트에게.. 2022. 1. 25. 2022_0114 | 노드 오류와 예외처리 01.html 01.js //console.log('안녕하세요. Node.js'); // const http = require('http'); // 모듈 갖고 오기 // const hostname = '127.0.0.1'; // 서버 주소 // const port = 3000; // 인터넷 경로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hostname = '127.0.0.1'; const port = 3000;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statusCode = 200; res.setHeader('Content-Type', 'text/plain');//html 의 header부분 res.end('Hello World.. 2022. 1. 25. 2022_0112 | node 기초 자동실행중지 [노드(node)] HTML DOM은 노드라고 불리는 계층적 단위에 정보를 저장합니다. HTML DOM은 노드들을 정의하고 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HTML 문서의 정보는 노드트리라고 불리는 계층적 구조에 저장됩니다. 노드트리는 최상위 레벨인 루트 노드로부터 시작하고, 가장 낮은 레벨인 텍스트 노드까지 내려갑니다. HTML DOM을 이용하여 노트 트리에 포함된 모든 노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노드의 종류 문서 노드(document node) : 문서 전체를 나타내는 노드 요소 노드(element node) : HTML 요소(태그)의 노드, 속성 노드를 포함하는 유일한 노드 속성 노드(attribute node) : HTML 요소의 속성, 요소 노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 2022. 1. 2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