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5 ddazua | 5강 format()과 형변환 새 파일 저장 formatTest.py #%%format test data = 10 data2 = "%d" %100 #ㄴ안에 무슨 타입이 들어가든 "str" print("data : %d" %data); print(type(data2)) print(data2) '''console결과 data : 10 100 ''' #%% format test2 #문자열값 . format( ) #A . B : A안에 B ->문자열이라는 값 안에 format이란 함수를 써줘라 data1 =10 data2 =10.4321 data3 ='A' data4 ='ABC' print("data1 : {}".format(data1)) print("data1 : {}\ndata2 : {}".format(data1,data2)) print.. 2021. 9. 13. ddazua | 3강 변수의 선언과 자료형 x = 0 저장공간의 대입연산자 값(상수) 이름 자료형(type) 정수형 int 실수형 float 문자열 str 논리형 bool 변수의 선언(메모리 할당이라고도 한다.)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 변수명 = 초기값 변수 선언시 RAM x = 0 x라는 이름의 저장공간이 RAM에 할당 x에 0이라는 초기값이 들어간다. 주소(c언어) : 저장공간이 RAM에 할당되면 고유한 값인 주소값이 부여된다. 변수 선언 시 주의사항 같은 이름으로 선언할 수 있으나 두번째 선언은 기존의 변수의 값을 수정할 때 사용된다. 예) x=10 x=20 // print(x)-> 20이 나옴 초기화를 반드시 해준다. 되도록 선언부에 한꺼번에 선언한다(페이지 상단) 예) 1 x=10 2 y=20 3 ... 4894 18999 print(y.. 2021. 9. 13. ddazua | 2강 인터프리터 사용 방법과 기본 구조 새 파일 생성 printTest.py #주석(ctrl+1) : 인터프리터가 해석하지 않음 #1.소스코드에 설명글을 작성할 때 #2. 지금 당장 사용하지 않는 코드가 있을 때 #이름을 출력하는 부분 print("한동석") #이름( )->메소드라고도 하고 함수라고도 함 #나이를 출력하는 부분 print("10살"); #콘솔(F5) : 사용자와 운영체제가 소통한 결과를 나타내는 창 ''' #===================== #범위 주석 ctrl + 4 #범위 주석 해제 ctrl + 5 #안녕하세요 저는 한동석입니다. #만나서 반가워요 #===================== 새 파일 생성 cellTest.py #%% (1) first cell print("한동석") print("홍길동") print("이.. 2021. 9. 13. ddazua | 4강 출력함수와 변수의 사용 새파일 생성 variable.py #%% (1) test1 # 제어문자 \(역슬래쉬) # 반드시 따옴표 안에서 사용한다. # \n : 줄 바꿈, 개행문자 (new line) # \t : 위 아래 줄 간격 맞춰 띄기(tab) # \\ : \ 표현 # \" : " 표현 # \' : ' 표현 # 인터프리터에서 해석 방향 #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 print()라는 것이 원래 "print(' ', end = '\n')" end 이하가 생략되어 있음 # end = ' '(공백) -> 띄어쓰기 기능 상실됨. \n을 넣어야 띄어쓰기 됨 print('자기소개', end='') print('\n이름:') print('\"한동석\"\n나이: 10살') '''console결과 자기소개 이름: "한동석" 나이: 10살.. 2021. 9. 13.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다음